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메카로 부상
풍력 76기 외 해상에 1187㎿ 허가

 
 

| 싣는 순서 |

① 해남을 뒤덮는 신재생에너지
② 태양광 발전 영농형으로 농촌 설치 유도
③ 육상부터 해상까지 풍력 발전의 위협
④ 친환경에너지 자립을 꿈꾸는 거창군
⑤ 시민들 모여 태양광 발전 나선 안산시

 

 

▲ 영광군 백수읍 염전마을 인근에 대규모 태양광과 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됐다.
▲ 영광군 백수읍 염전마을 인근에 대규모 태양광과 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됐다.

서해바다의 풍경을 즐길 수 있는 영광군의 백수해안도로를 따라 남쪽으로 향하다 보면 넓게 펼쳐진 대지 위에 빙글빙글 돌아가는 바람개비가 곳곳에 세워져 있다. 해안가와 육상 곳곳에 세워진 흰색 바람개비는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힘차게 돌고 있다.

굴비와 원자력발전소가 먼저 생각나는 영광은 대규모 풍력단지와 태양광단지가 조성되면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 백수읍 하사리 인근의 넓은 농지에는 풍력발전기를 쉽게 볼 수 있다. 풍력발전기 사이에 폐염전을 활용한 대규모 태양광발전시설도 들어서 있다.

 
 

현재 영광군에는 풍력발전기 76기, 174㎿의 풍력발전단지를 비롯해 146㎿의 태양광발전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육상풍력에 이어 해상풍력으로 1187㎿ 규모의 발전 허가를 받아 사업을 추진 중이다.

영광군의 신재생에너지 중 눈에 띄는 풍력발전이 들어선 것은 지난 2007년 백수읍 하사리 제방의 공유수면에 기상타워를 세워 1년간 계측한 것을 시작으로 2011년 8월에는 정부 국책사업인 풍력시스템 평가센터가 구축됐다. 풍력시스템 평가센터에서는 국내 기업이 개발하는 모든 대형풍력기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평가한 후에 국내·외 발전단지로 납품되고 있다.

정부는 석탄과 원자력발전의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율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특히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영광에 들어선 한빛원전은 2025년 1호기를 시작으로 2034년에 3호기까지 폐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에 영광군은 신재생에너지 전력 공급망과 에너지신기술, 빅데이터 제품 실증연구와 연계한 '한국판 뉴딜-블루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영광군은 지난해 '영광군 재생에너지산업 육성 및 군민 참여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며 500㎾ 이상 발전시설에 대해 군민 자기자본금 10~20%를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그동안 태양광과 풍력 등이 사업자의 수익에만 국한되고 있었으나 조례 제정으로 군민과 수익을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올해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추진 기준을 정해 40㎿를 초과할 경우 군에서 주도적으로 집적화단지를 의무적으로 조성해 주민 수용성 확보와 난개발을 방지했다.

마을공동사업을 보조·공모사업으로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을 진행할 경우 개발행위허가를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산업입지법'에 따라 지정된 산업단지 공장 지붕에도 태양광발전사업을 할 수 있는 등 도시계획 조례를 개정했다.

백수면 하사리 일원에는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금을 활용해 985세대가 참여한 주민 주도형 태양광발전소(6.2㎿)가 설치돼 세대당 192만9000원, 연 19억원의 농외소득을 내고 있다. 주민들이 100% 출자한 군민 햇빛발전소(8.4㎿)도 운영을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을 통해 영광읍과 군서면의 주택과 상업·공공건물 460개소(2190㎾)에 47억 원을 투입, 태양광과 태양열 등을 설치하며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고 전기요금 부담을 줄이면서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나서고 있다.

영광군은 초대형 풍력 실증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풍력시스템 평가센터의 테스트 제한을 5㎿에서 8㎿까지 올려 초대형 설비의 국산화에 나서고 있다. 또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과 지역 주민 수익모델 창출을 위해 군 유휴부지를 활용한 전력 공급망, 에너지신기술, 빅데이터, 제품 실증연구 등이 가능한 에너지 융복합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그린수소 생산 및 저장시스템 기술개발과 해상에너지 통합관리 디지털 플랫폼 개발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앞당기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뤄나갈 계획이다.

곳곳에 세워지는 송전탑 주민피해
해상풍력, 어민들 피해대책위 꾸려

주민 수용성을 끌어올리고 있으나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지역주민의 반응은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백수읍에는 염전마을이 있다. 염전마을의 40만평에 달했던 염전은 태양광발전소로 뒤덮였다. 임대료를 내고 땅을 빌려 염전을 운영해왔는데 태양광발전소가 염전을 뒤덮어 대규모 태양광발전단지로 바뀐 것이다.

이곳은 지난 2018년에 개봉했던 영화 '독전'의 배경으로 염전과 풍력발전기의 모습이 담겼다. 대규모로 조성된 풍력발전단지는 관광객을 불러오는 효과도 일부 있다. 파란 하늘과 함께 돌아가는 풍력발전기는 사진 배경으로도 한몫을 한다.

하지만 주변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에게는 와 닿지 않는 이야기다. 삶의 터전을 빼앗기고 매일 지켜봐야 하는 주민들에게는 고민거리로 다가온다.

생산된 전기를 옮기기 위해서는 송전탑과 변전소가 설치돼야 하는데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다. 결국은 송전탑이 내가 사는 곳 주변 풍광을 해치며 지나는데 결국 전기는 타 지역으로 가는 것이다. 보상도 땅 주인과 일부 인근 주민만 받아 주민들이 불만을 토로한다.

대규모 해상풍력이 계획되면서 어민들도 반발에 나섰다. 낙월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에 따라 인근 해역에서 어업을 하던 자망협회, 닷자망협회, 어촌계협의회, 계량안강망협회 소속의 어민들이 영광군 해상풍력반대 대책위원회를 만들어 생존권 사수를 위해 나섰다.

해당 해역에는 4000여 척의 크고 작은 어선들이 어업을 하고 있으며 연평균 8000~9000톤의 어획고를 올리고 있던 터라 풍력발전단지가 들어서게 된다면 어류 고갈, 소음·진동, 전기장 피해, 조업 구역 축소 등으로 어업에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 우려되고 있다.

하지만 이미 산자부를 통해 발전사업 허가는 이뤄진 상태에서 사업철회는 어려웠고 대책위는 영광군 해상풍력 피해대책위로 이름을 변경하고 사업자 측과 피해보상과 더불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집중하기로 했다.

 

| 인터뷰 | 황용민(영광군 해상풍력피해대책위 선임위원장)

"지역민과 상생하는 발전사업 펼쳐야"

 
 

- 피해대책위는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

"3년 전에 주민설명회를 통해서 대규모 해상풍력이 들어온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미 계측기 운영도 끝났고 발전사업 허가도 나온 상황이었다. 어획량이 많은 노른자 지역에 풍력을 설치한다는 소리에 해당 해역에서 어업을 하는 어민들이 주축이 돼 사업철회를 위해 나섰으나 쉽지 않았다. 이후 기업과 어민들이 상생할 방안을 찾고 있고 용역기관을 선정해 어획량과 출하 등 어업관련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감정평가를 받아 어민들의 피해에 대한 보상과 더불어 앞으로 방향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군민의 반응은.

"영광은 원자력발전소로 인해 큰 갈등을 겪었던 곳이고 그 갈등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원자력 대신 신재생에너지의 필요성은 다들 공감하고 있으나 과거와 같은 갈등이 또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원전이 운영된 후에 원전 주변 지역에만 보상이나 지원이 이뤄지고 소외되는 곳이 있다. 원전으로 함께 고통을 받고 있는데 혜택을 본 사람과 아닌 사람으로 나뉜다. 신재생에너지도 마찬가지이다. 삶의 터전을 지켜나가고 싶지만 신재생에너지는 농어촌으로 밀려온다. 내 눈앞에 신재생에너지 시설이 들어서고 거기서 생산된 전기를 옮길 송전탑이 곳곳에 들어서는 것을 반길 사람은 없을 것이다. 주민과 지역, 기업이 함께 상생하는 방법을 하루 빨리 찾아야 한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